유산소성 지구력 훈련은 최대 심박출량과 1회박출량의 증가 및 안정시, 최대하 운동시 심박수 감소등의 심혈관계 기능에 여러 변화를 초래한다.
♥ 심장
심장근육-심근-은 골격근과는 달리 의식적으로 움직이거나 멈출 수 없는 불수의(不隨意)근의 장기이다. 따라서 체성신경계에 의해 작동하지 않고 스스로 운동을 조절한다. 심근의 주기적 운동을 박동(搏動) 이라고 하며 이 심장박동의 중추는 연수(뇌줄기의 하부)이며 자율신경계-교감/부교감 신경의 길항작용으로 조절된다. 이는 심장이 갖는 자극전도계 라는 특수한 시스템으로 작용한다. 심근 특유의 그물 구조는 탄성섬유에 결합조직과 신경섬유가 다량 분포되어있는 모습이다. 심장운동의 전기적 자극은 우심방의 동방결절에서 시작된다. 동방결절이 흥분하면 심방근이 수축한다. 즉, 심장이 뛴다는 것은 동방결절의 자발적인 활동전위에 의한 것. 교감신경의 항진은 동방결절의 활동전위를 자극해 심장수축을 빠르게 한다. 반대로 부교감신경은 심장박동을 느리게 한다.
유산소 운동의 효과
활동근 근섬유의 모세혈관 밀도 증가
혈액에 산소와 영양소를 운반
호르몬 공급
열, 대사부산물(젖산,이산화탄소) 배출
체온조절
중추성 심혈관계 기능(심박출량) 향상
최대 산소섭취량 증가
좌심실의 크기 및 수축력증가
운동의 대사산물인 젖산은 저.중강도의 유산소 운동시 발생하지 않지만 충분한 산소가 활동근에 공급되는데 고강도에서는 젖산이 함께 축적된다. 유산소성 지구력 훈련의 근육요소는 각각의 세트사이 최소한의 회복으로 많은 수의 반복을 실시하는 최대하 근수축을 포함하기 때문에 상대적 운동강도는 낮은 반면 전체운동량은 많게 된다.
이미지출처
https://books.byui.edu/bio_265_anatomy_phy_II/131__heart_conductio
https://simplemed.co.uk/subjects/cardiovascular/anatomy-of-the-cardiovascular-system
'Bo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혈관계와 유산소 운동 (4) | 2025.02.09 |
---|---|
근력운동 꼭 해야 해? 무산소성 훈련의 중요성 3. 기타 (2) | 2025.02.02 |
근력운동 꼭 해야 해? 무산소성 훈련의 중요성 2.근육,결합조직 (2) | 2025.02.02 |
근력운동 꼭 해야 해? 무산소성 훈련의 중요성 1. 신경, 역치, 운동피질 (3) | 2025.01.24 |
고유수용기 (0) | 2025.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