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라테스 8

유산소성 지구력 훈련_심장의 운동: 심박동

유산소성 지구력 훈련은 최대 심박출량과 1회박출량의 증가 및 안정시, 최대하 운동시 심박수 감소등의 심혈관계 기능에 여러 변화를 초래한다.   ♥ 심장 심장근육-심근-은 골격근과는 달리 의식적으로 움직이거나 멈출 수 없는 불수의(不隨意)근의 장기이다. 따라서 체성신경계에 의해 작동하지 않고 스스로 운동을 조절한다. 심근의 주기적 운동을 박동(搏動) 이라고 하며 이 심장박동의 중추는 연수(뇌줄기의 하부)이며 자율신경계-교감/부교감 신경의 길항작용으로 조절된다. 이는 심장이 갖는 자극전도계 라는 특수한 시스템으로 작용한다. 심근 특유의 그물 구조는 탄성섬유에 결합조직과 신경섬유가 다량 분포되어있는 모습이다. 심장운동의 전기적 자극은 우심방의 동방결절에서 시작된다. 동방결절이 흥분하면 심방근이 수축한다. 즉,..

건강/Body 운동 2025.03.31

근력운동 꼭 해야 해? 무산소성 훈련의 중요성 2.근육,결합조직

신경근 연접부의 발달: 운동신경과 골격근섬유의 접합면. 근력운동은 신경근 연접부 면적의 증가를 가져온다. 또한 아세틸콜린 수용체가 더 많이 분산되며 종판 주변길이와 면적의 증가에 기여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무산소성 훈련이 신경전달 능력에 도움이되는 신경근 연접부의 형태학적인 변화를 유도하는 것을 시사한다. 신경근반사 강화: 근력운동은 신경근계의 반사 반응을 활발히 하며 이를 통해 근력발달을 증진 시킨다. 저항훈련은 반사 강화를 19-59%까지 증가 시킨다. 특히 슬와근의 반사 강화가 큰것으로 나타났다.  근전도 향상: 골격근내의 신경활성의 크기. 향상된 운동학습과 협응력은 근육의 커짐과 상관없이 훈련의초기 단계에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운동이 진전됨에 따라 신경과 근비대 기전 사이에 상호작용이 존재..

건강/Body 운동 2025.02.02

고유수용기

'고유감각'의 어원고유감각을 의미하는 proprioception은 one’s own을 의미하는 라틴어 proprius와 perception의 합성어다. 고유(固有)라는 말도 본디부터 지니고 있다는 의미. 종합하면, 고유감각은 본래 가지고 있는 신체에 대한 스스로의 감각이라는 의미다. 고유수용기 Proprioceptors 란체성감각수용기의 하나로 근육, 건, 인대, 관절, 피부 등에 존재하는 감각수용기이다. 근골격계의 움직임에관여 하는 것은 근육의 근방추muscle spindle와 건의 골지건 기관 golgi tendon organ 이 있다. 고유수용기로 받은 정보는 중추신경계를 통해 처리되어 신체의 위치와 움직임에 대한 감각을 형성한다. 이 감각을 고유수용성감각(proprioception)이라고 한다. ..

건강/Body 운동 2025.01.16

근육 자극 기전 / 근섬유 유형

운동신경이 자극되면(활동전위:전기적신경자극) 그 것과 연결된 모든 근섬유가 동시에 힘을 생성한다. 통제되는 근육의 범위는 각 운동신경에 연결된 근섬유 수에 달려있다. 눈 근육과 같이 정밀하게 기능해야하는 근육은 운동신경세포당 근섬유가 하나일 정도로 적은 운동단위를 갖는다. 반면, 덜 섬세한 다리 근육인 대퇴사두근은 한개의 운동신경에 수백개의 섬유가 연결되어 있다. 자칫 헷갈릴 수 있는데 이렇게 생각해보자. 하나의 신경세포가 지배하는 근섬유가 하나면 여러개인 것에 비해 그 하나의 근섬유에 더 민감하게 일할 수 있다.    운동신경에 흐르는 활동전위가 직접적으로 근육을 움직이지는 않는다. 활동전위가 신경종말에 도달하면 아세틸콜린 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촉진하여 근섬유를 수축시킨다. [ 활동전위---신경..

건강/Body 운동 2025.01.14

Recognition

운동의 시작은 인지. 그런의미에서 운동강사들이 가장 먼저 배우는 것이 근골격계 이다. 일명 해부학. 각 근육과 뼈대의 명칭과 기능, 위치를 파악 한다. 좀더 깊게는 신경계, 혈관계 까지도.. 기본적인 근골격계를 알고 각부분을 느끼는 인지 단계를 지나 몸의 표면과 내부를 연결 할 수 있다. 체형과 자세에  대해 인지 할 수있다. 운동을 하는 주된 목적인 자세측면에서 볼때 흔히들 얘기하는 나쁜자세, 그 나쁜자세를 만든 고착화 된 근육들은 우리의 목적인 심부근육이나 자세 유지근을 단련해야하는 입장에서는 장애물이다. 쉬운 예를 들면 복부운동을 하는데 배에 집중이 안되고 목이나 어깨가 아프다거나 고관절이 아프다 등의 반응. 그렇기에 몸을 움직이기에 앞서 인지를 해야하고 그러려면 집중해야한다. 나는 여기에 한가지 ..

건강/Body 운동 2024.09.01

전통 필라테스, 프리드먼과 아이젠의 필라테스 원리

Concentration 집중자신이 하고 있는 일에 집중해야 한다. 신체의 어떤 부분도 중요치 않는 부분이 없고 어떤 움직임도 무시할 수 없다.  Control 조절집중을 통해 움직임을 여러관점에서 통제할 수있다. 큰 움직임뿐만 아니라 손가락, 머리, 발가락 등의 위치, 굴곡, 편평한 정도, 팔다리 관절의 회전 등 모든 부분에 집중해야 한다.  Centering 중심화 집중하고 통제하기 위해서는 몸의 기초를 쌓는 시작점  Center의 기능이 요구된다. 흉곽 하부와 엉덩이 뼈들을 가로지르는 연속적인 띠를 형성하는 신체 부위를 생각해보자.   Flow 유동적 움직임경직되거나 갑자기 움직이지 않으며 너무 빠르거나 너무 느려도 안된다. 부드럽고 연속적인 고른 움직임은 조절을 통해 가능하다.  Precision..

카테고리 없음 2024.09.01

필라테스의 생애 흐름으로 보는 필라테스 역사

조셉 필라테스는 1880년대 독일 뒤셀도르프 근처에서 태어났다. 그는 그루병, 천식, 류마티스열, 결핵 등을 앓는 허약한 체질의 아이였다. 산업혁명으로 좌식생활이 보편화되고 인구밀도가 증가 하면서 각종 질병이 많아졌고 항생제 등의 약물과 현대의학이 발전되기 전 이었기에 건강을 지키기위한 다양한 움직임이 유럽전역에 확대 됐다. 그 일환으로 온천과 운동은 당시 유럽인의 일상이 되었다. 독일에서는 19세기 초 독일인 루드윅 얀 Friedrich Ludwig Jahn 에 의해 고대 그리스에서 기원한 현대 체조가 발전되었다. 그의 운동은 실외 프로그램으로 시작해 그가 개발한 기구 운동으로 발전했다. 스웨덴에서는  퍼 헨릭 링 Pehr Henrik Ling 이 동작의 리듬과 유동성을 강조하는 다른형태의 체조Gymn..

건강/Body 운동 2024.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