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학 3

근력운동 꼭 해야 해? 무산소성 훈련의 중요성 2.근육,결합조직

신경근 연접부의 발달: 운동신경과 골격근섬유의 접합면. 근력운동은 신경근 연접부 면적의 증가를 가져온다. 또한 아세틸콜린 수용체가 더 많이 분산되며 종판 주변길이와 면적의 증가에 기여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무산소성 훈련이 신경전달 능력에 도움이되는 신경근 연접부의 형태학적인 변화를 유도하는 것을 시사한다. 신경근반사 강화: 근력운동은 신경근계의 반사 반응을 활발히 하며 이를 통해 근력발달을 증진 시킨다. 저항훈련은 반사 강화를 19-59%까지 증가 시킨다. 특히 슬와근의 반사 강화가 큰것으로 나타났다.  근전도 향상: 골격근내의 신경활성의 크기. 향상된 운동학습과 협응력은 근육의 커짐과 상관없이 훈련의초기 단계에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운동이 진전됨에 따라 신경과 근비대 기전 사이에 상호작용이 존재..

건강/Body 운동 2025.02.02

근력운동 꼭 해야 해? 무산소성 훈련의 중요성 1. 신경, 역치, 운동피질

흔히 '웨이트', '근력운동'이라 불리는 무산소성 훈련은 근육의 스피드, 순발력, 운동수행능력을 위해 신경동원을 증가 시킨다. 무산소성 훈련은 대뇌에서 근섬유 까지 지속적으로 연결되는 근신경 사슬에 따라 장시간 동안의 적응을 초래한다. 운동을 통한 신경적응은 운동수행력을 최대화 하는데 필수적이며, 신경구동(neural drive)은 주동근의 동원, 근섬유의 격발속도, 시간, 그리고 근육수축에 동원되는 근신경 수의 증가를 통해 향상 된다. 이러한 신경적응은 운동을 지속하는 동안 골격근의 구조적 변화가 보이기 전부터 인체 내부에서 일어나고있다.   근신경계의 기능단위는 운동단위(motor unit)이다. 운동단위는 알파운동신경과 이를 활성화시키는 근섬유를 말한다. 쉽게말해 근섬유와 그것을 움직이는 뉴런.[그..

건강/Body 운동 2025.01.24

근골격계 / 근육의 구조

뼈신체에는 대략206개의 뼈가 존재한다.Axial skeleton-축골격: 두개골, 척추, 늑골, 흉골Appendicular skeleton-부속골격: 견갑대: 팔, 손목, 손/ 하지대: 다리, 발목, 발 관절뼈와 뼈를 잇는다. 맞물리는 뼈의 끝부분은 cartilage-연골 로 덮혀 있고 관절전체가 활액낭으로 차있다. [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 ]Fibrous-섬유성관절: 두개골, 움직임이 거의 없다. cartilaginous-연골성관절synovial-윤활관절: 가장자유로운 움직임 (팔꿈치,무릎)[ 회전이 일어나는 축의 수에 따라 ]일축성 관절이축성 관절다축성 관절 골격근뼈를 움직인다. 근육조직, 결합조직, 신경과 혈관을 포함하는 기관이다. 근육을 감싼 막을 섬유성 결합조직인 근외막이라고 한다. 근외막은 ..

건강/Body 운동 2025.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