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

새벽, 문앞에 브로콜리가 무서웠어요.

@Teal.Han 2025. 11. 8. 23:41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가 '불편하기로 마음먹은' 이야기를 써볼까 합니다.
 
   이제는 모두가 말합니다. "운동과 식이는 건강의 기본이다." 저는 꽤 일찍부터 '건강식'에 공을 들이기 시작 했어요. 지금 처럼 사람들의 웰니스지성이 보편적이지 않았던 시절엔 다소 '유별난 사람'으로보이기도 했어요. 지나온 삶을 돌아보니 그 시작에는 크게 두 줄기가 있었습니다. 먼저는 농사의 수고로움과 생명의 소중함을 숟가락 위에 얹어주시던 엄마의 밥상머리 교육, 다음으로는 무용수로 지내던 20대 몸 관리에 대한 사명감. 연습 후 저녁대신 먹을 간식하나를 고를때도 모르는 성분이 보이면 검색을 하곤 했어요. 종일 땀으로 다듬은 몸이 아까웠거든요. 또 그게 그냥 좋았어요. 
 
   수년간 건강한 먹거리를 즐기다보니 농부시장을 찾게 되었고 유기농, 친환경, 자연농법으로 길러진 작물을 만나게 되었습니다. 거기서 만난 콩 고추 가지 호박 들은 단지 채소가 아니었어요. 농부들이 예고없는 자연과 수 개월의 밀당 끝에 얻어낸 생명, 그들의 이야기, 그들의 삶 이었습니다. 게다가 토종종자라면 그 모습들이 또 얼마나 다채롭고 예쁜지 몰라요. 저는 그것들을 작물이 아닌 작품이라 부릅니다. 그렇게 상품이 아닌 작품을 사기위해 로켓배송을 끊고 농부시장을 다니게 되었습니다. 가면 갈수록 즐거워요.
   
   농부들과 그들의 작품은 자연과 나를 끊임없이 연결해 줍니다. 그러다 건강식에 대한 철학이 자연스레 정립 되었어요. '진짜 건강식은 기후, 지역, 다양성과 함께 할때' 내가 밟고 서있고 내가 먹는 것들이 자라는 땅:토양, 그 것을 지키는 책임도 갖고 싶어졌습니다. 터치 한번이면 새벽같이 문 앞에 도착한 브로콜리는 브로콜리가 아닌것 같았고, 건강을 위해 아보카도와 샐러리를 찾으면서 종이컵에 커피를 테이크아웃 하는 모습이 모순적 이더라고요. 
 
   더 빨리 더 많이 를 외치는 자본의 논리는 자연의 시계위에 서 있는 농업에는 더 가혹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유의 철학으로 작물을 길러내는 농부들이 있습니다. 변덕스러운 자연을 거스르기보다 받아들이죠. 편리성에 맞게 조작된 작물들이 좋을 리 없잖아요? 그래서 유기농, 친환경, 자연농 인 것입니다. 그리고 완벽하진 않지만 실천하는 한가지, 쓰레기를 줄이고자 장바구니와 용기, 여러번 씻어쓰는 지퍼백을 챙겨갑니다. 
  
   농부시장을 본격적으로 다닌지 3년, 농작품으로 한끼 예쁘게 담아 먹는게 매일의 즐거움이에요. 내면적으로는 '자기효능감'이 솟구친달까? 이렇게 불편하기로 마음먹고 저는 삶이 더 편안해졌어요. 조금의 불편함을 감수하면 더 가치있는 것들이 저를 채워주더라구요. 그래서 지금은 
 

편리함이 아닌 편안함을 느낍니다.

 
 
  
 
 
 
 
👩🏻‍💻 제가 지은 단어는 굵게 표기했습니다. 

'Ec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태민주주의 사례와 이론가들  (3) 2025.05.11
자본주의와 생태주의 강의_강수돌 교수  (2) 2025.05.11
Book_ 궁금했어, 기후변화  (1) 202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