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

Book_ 궁금했어, 기후변화

@Teal.Han 2025. 4. 26. 22:31
  • 대기-atmosphere-지구의 담요. 생명체들이 살아갈 수 있는 적당한 온도와 공기를 안전하게 유지. 온실가스 자체는 나쁜것이 아니다. 생명체가 살아가기 적당한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꼭 필요하지만 과한 것이 문제이다. 온실효과를 심화 시키는 대표적인 기체: 메탄Methane, 아산화 질소Nitrous oxide, 수소불화탄소hydrogenated carbon, 과불화탄소Perflurocarbon, 육불화황Sulfur hexafluoride, 삼불화질소Nitron Fluorine Three 

Green-house gases

  • 적조현상

수온이 높아지면 붉은색을 띄는 적조생물(플랑크톤)이 늘어 바다가 붉게 보이는 현상. 물속 산소가 부족해지고 특유의 점액질 때문에 수질에 영양을 끼친다. 어류는 변온 동물이라 수온에 민감하다. 한류성 어류와 난류성 어류의 서식지에 영향, 한류성 어류의 감소

 

  • 바다사막화, 갯녹음 현상

바다의 온도가 상승하면 높은 수온에서 잘 자라는 무절석회 조류가  번식한다. 무절석호 조류는 탄산칼슘이 많아 바위난 다른 해양동식물의 표면을 딱지처럼 뒤덮-> 다른 해조류들의 서식지를  장악-> 해양생태계 위협  : 이를 석회질이 뒤덮은 바닷 속, 바다사막화 라 한다.

해양산성화

  • 꿀벌

이른 개화시기는 꿀벌의 활동시기를 앞당기지만 날씨변동으로 일찍죽어버리는 확률도 함께 증가 했다. 우리나라 겨울철 꿀벌피해의 양 약 80억마리. 꿀벌의 꽃가루를 매게로하는 농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다. 

기후변화의 영향_ 일러스트레이터 나수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