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1 2

생태민주주의 사례와 이론가들

한국_청주_(주)우진교통 이라는 버스회사에서는 노동자가 사장님을 직접뽑는다. 사장월급도 기사님들과 같고 중요한 의사결정은 총회에서 이뤄지고 각 조별 자주관리도 하면서 노동자 민주주의를 이루었다. 프랑스_피케티_ 부유층들이 전용기를 몰고 다니는 걸 비판합니다. 쓸데없이 큰차를 몰거나 단거리 조차 전용기로 오가는 등 온실가스를 많이 배츨한다죠. 그래서 프랑스에서는 기차로 2시간 30분내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는 2023년 5월부터 국내선 비행기 운행을 금지하고 있어요. 또한 많이 벌수록 많은 세금을 내게 하자. (부유세) 유럽에서는 이런주장이 자본주의를 부정하지 않으면서 분배를 좀 잘하자는 면에서 민주주의적 대안이라 여긴다. 일본_사이토 고헤이_ 탈성장 코뮤니즘. 코뮤니즘 스웨덴_안드레아스 말름_ 제대로..

Eco 2025.05.11

자본주의와 생태주의 강의_강수돌 교수

그저 열심히 살다보면 좋은 날이 오겠지?그런 날은 오지않는다. 생태주의.불안과 위기의 시대, 자본과 생명이 대립하고 있다는 문제의식 으로 부터 출발 🐣 자본주의 사회에서 인간생명의 일대기- 아기가 태어나고 노동시장에서 써먹으려면 교육을 시킨다. 학교에서는 국영수사회윤리 등을 배운다. 여러 과목과 학교내의 규율습득을 통해 노동능력과 노동의욕이 길러져 사회에 나온다. --교육자본- 이렇게 배출된 노동력은 대략40년 정도 폐물이 될 때까지 열심히 상품을 만들고 기업의 몸집을 불려줘야 한다. --생산자본- 노동시장으로 부터 탈락돼 나오면 여기저기 아프고 병원을 전전하며 노후가 채워진다. --병원자본 - 그렇게 살다 죽을때도 돈이다. --장례자본 성공이나 출세의 마인드가 강해지고 특권층 내지 상층부 진..

Eco 2025.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