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T 2

근력운동 꼭 해야 해? 무산소성 훈련의 중요성 1. 신경, 역치, 운동피질

흔히 '웨이트', '근력운동'이라 불리는 무산소성 훈련은 근육의 스피드, 순발력, 운동수행능력을 위해 신경동원을 증가 시킨다. 무산소성 훈련은 대뇌에서 근섬유 까지 지속적으로 연결되는 근신경 사슬에 따라 장시간 동안의 적응을 초래한다. 운동을 통한 신경적응은 운동수행력을 최대화 하는데 필수적이며, 신경구동(neural drive)은 주동근의 동원, 근섬유의 격발속도, 시간, 그리고 근육수축에 동원되는 근신경 수의 증가를 통해 향상 된다. 이러한 신경적응은 운동을 지속하는 동안 골격근의 구조적 변화가 보이기 전부터 인체 내부에서 일어나고있다.   근신경계의 기능단위는 운동단위(motor unit)이다. 운동단위는 알파운동신경과 이를 활성화시키는 근섬유를 말한다. 쉽게말해 근섬유와 그것을 움직이는 뉴런.[그..

건강/Body 운동 2025.01.24

근육 자극 기전 / 근섬유 유형

운동신경이 자극되면(활동전위:전기적신경자극) 그 것과 연결된 모든 근섬유가 동시에 힘을 생성한다. 통제되는 근육의 범위는 각 운동신경에 연결된 근섬유 수에 달려있다. 눈 근육과 같이 정밀하게 기능해야하는 근육은 운동신경세포당 근섬유가 하나일 정도로 적은 운동단위를 갖는다. 반면, 덜 섬세한 다리 근육인 대퇴사두근은 한개의 운동신경에 수백개의 섬유가 연결되어 있다. 자칫 헷갈릴 수 있는데 이렇게 생각해보자. 하나의 신경세포가 지배하는 근섬유가 하나면 여러개인 것에 비해 그 하나의 근섬유에 더 민감하게 일할 수 있다.    운동신경에 흐르는 활동전위가 직접적으로 근육을 움직이지는 않는다. 활동전위가 신경종말에 도달하면 아세틸콜린 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촉진하여 근섬유를 수축시킨다. [ 활동전위---신경..

건강/Body 운동 2025.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