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산소운동 2

유산소성 지구력 훈련_심장의 운동: 심박동

유산소성 지구력 훈련은 최대 심박출량과 1회박출량의 증가 및 안정시, 최대하 운동시 심박수 감소등의 심혈관계 기능에 여러 변화를 초래한다.   ♥ 심장 심장근육-심근-은 골격근과는 달리 의식적으로 움직이거나 멈출 수 없는 불수의(不隨意)근의 장기이다. 따라서 체성신경계에 의해 작동하지 않고 스스로 운동을 조절한다. 심근의 주기적 운동을 박동(搏動) 이라고 하며 이 심장박동의 중추는 연수(뇌줄기의 하부)이며 자율신경계-교감/부교감 신경의 길항작용으로 조절된다. 이는 심장이 갖는 자극전도계 라는 특수한 시스템으로 작용한다. 심근 특유의 그물 구조는 탄성섬유에 결합조직과 신경섬유가 다량 분포되어있는 모습이다. 심장운동의 전기적 자극은 우심방의 동방결절에서 시작된다. 동방결절이 흥분하면 심방근이 수축한다. 즉,..

건강/Body 운동 2025.03.31

심혈관계와 유산소 운동

심혈관계의 역할 영양소 운반 대사산물(노폐물) 제거 신체의 산-염기 평형, 체액, 체온 및 기타 생리학적 기능조절혈액의 역할 산소를 폐에서 조직으로 운반하여 세포대사를 가능하게 한다. 부산물인 이산화탄소를 조직에서 폐로 운반하여 몸에 제거한다.  호흡계의 역할산소와 이산화 탄소의 교환 폐의 작동폐는 능동적으로 움직이지 못한다. 횡격막이 하강 또는 상승하거나 늑골의 상하 운동으로 흉강이 확장되거나 수축하면서 폐의 크기를 조절한다. 일상적인 호흡에서는 거의 횡격막만 움직인다. 흡기: 횡격막 수축--> 흉강내 압력이 떨어져 공기가 안으로 들어온다.  호기: 횡격막 이완--> 폐 자체의 탄성과 흉벽, 복부 구조물들이 폐를 압박  유산소성 운동으로 인한 운동수행력 향상 호흡계: 최대하 호흡률이 감소한다. 심혈관계..

카테고리 없음 2025.02.09